긴급 조난신호 메이 데이(Mayday)의 뜻과 유래
영화에서
비행기가 추락하거나 비상착륙을 해야 할 상황이 오면 조종사들이 무선으로 보내는 신호가 바로 '메이데이' 입니다.
긴박하게
메이데이~ 메이데이~ 메이데이~ 라고 외치는 장면은 다들 한번쯤을 보셨을 텐데요.
왜 Mayday라는 단어가 긴급조난신호로 사용되게 된 것일까요?
메이데이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띄어쓰기를 해서 May Day 라고 하면 5월 1일 노동절을 뜻하기도 하구요.
긴급조난신호로 사용되는 메이데이는 이와 구분해 붙여쓰기를 해서 Mayday 라고 표기합니다.
무선전신에서의 대표적인 긴급조난신호는 SOS이지만, 목소리가 전달되는 무선통신에서의 긴급조난신호는 바로 이 메이데이입니다. SOS가 아무런 뜻 없이 단순히 모스부호의 단순한 조합을 찾다가 만들어진 단어인 것 처럼 Mayday도 노동절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꽤나 단순한 이유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메이데이는 1923년
런던의 크로이든 공항 항공 무선사였던 프레드릭 먹포드가 항공기나 선박들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신호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면서 만들어낸 단어인데요.
그 유래는 바로 불어의 Viens m'aider (나를 도와달라) 입니다.
당시만해도 대부분의 항공기 운항이 영국 크로이든 공항과 프랑스 부르제 공항 사이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시절이었고, 지금과 비교해 프랑스어의
사용이 국제적으로도 아주 빈번하던 시절이었답니다.
그런 이유로 프랑스어 Viens m'aider 에서 m'aider(메데)와
비슷한 발음을 가진 영어단어를 선택하면 프랑스어와 영어사용자 모두 쉽게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m'aider와 비슷한 발음
가진 Mayday를 긴급 조난신호로 사용하게 된 것이죠.
비와 비슷한 사례로 메이데이보다는 덜 긴급하지만 고장이나 응급환자 발생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했을때 송출하는 조난신호인 판판(Pan-Pan)이 있는데요.
이 또한 고장, 작동불능을을 뜻하는 프랑스어인 Panne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메이데이가 발음의 유사성으로 긴급 조난신호로 선택되었다니 재미있는 사연이죠?
그리고 Mayday는
다른 단어 뜻과 구분하기 위해 송출할 때 반드시 3번 반복하도록 되어 있는것이 원칙입니다.
SOS의 모스부호가 같은 신호 3번
반복이라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이또한 어떤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도 드네요.